국회시도의정뉴스 한상돈 기자 | 문경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사과 주산지로 2,400㏊의 면적에서 연간 4만 3천여 톤의 사과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감홍사과 재배확대 정책에 따라 해마다 100㏊이상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조만간 재배면적 3,000㏊, 생산량 6만 톤을 넘어설 전망이다.
현재 생산량 중 2만 3천 톤은 관내 농협 유통센터에서 유통되고, 7천 톤은 축제나 택배 등의 방법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1만3천톤은 안동공판장으로 출하되어 고품질의 문경사과가 원산지가 불분명한 상태로 판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인해 연간 23억원에 달하는 물류비용이 발생하며, 성수기에는 2~3일씩 대기해야 하는 비효율성도 커, 문경사과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되어왔다.
이에 문경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총 100억 원 규모의 산지유통시설 확충 사업을 적극 추진해왔다. 그 결과, 기존에 유통시설이 부족했던 동부지역(산북면·동로면)의 연간 사과 생산량 9천 톤 중 고작 2천 톤만 처리 가능하던 문제가 해소될 전망이다.
유통 인프라 확충의 주요성과로는 동문경농협이 산북면에 56억원의 사업비로 연간 처리능력 6천톤의 중규모 사과유통센터를 준공하여 문경시 동부지역 사과 유통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점촌농협도 신기동에 22억의 사업비로 소규모 유통센터를 건축중에 있어 관할구역 사과생산량 4천5백톤 중 3천톤 정도는 소화가 가능하며 대구경북능금농협도 20억원의 사업비로 마성면에 738㎡의 저온저장고를 준공하여 저장능력 8백톤을 추가로 확보했다. 문경농협도 5억원으로 비파괴 당도선별이 가능한 최신 선별기를 설치하여 처리 물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산지유통시설이 북부 지역에 집중됐던 기존 구조에서 벗어나, 동·남부 지역까지 균형 있게 확충되면서 과수 농가의 접근성이 대폭 향상됐다. 이에 따라 문경시 전체적으로 사과 재배 면적이 균형 있게 확대되고 있으며, 지역 농가들은 문경 사과의 가치 상승과 함께 더욱 안정적인 유통망을 기대하고 있다.
올 연말, 모든 사업이 마무리되면 문경시는 자체적으로 생산된 모든 사과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사과 자급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를 발판으로 문경 사과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전국적인 명성을 한층 높여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뉴스출처 : 경상북도 문경시]